제 글에 딴죽 걸고 싶은 분들께…

곁머리말[부제] – 다른 사람 글에 딴죽 걸고 싶은 분들께…(좋은 쪽이든 나쁜 쪽이든…)

아마도 제 글을 두고 이런 저런 딴죽 걸고 싶은 이들이 많을 것입니다.
실제로 이런 저런 딴죽 거시는 분들이 많은데, 그 가운데 많은 분들이 서로 얘기를 나누고자 함이 아니라 그냥 남 얘기에 티끌이나 잡아보자는 심보가 보이고, 그런 분들은 대부분 마음을 다해 맞댄 글에 더이상 책임을 지지 않고 내빼 버려 저를 맥 빠지게 합니다.

그런 이들 때문에 정말로 서로 얘기를 나누고자 하는 분들께 제가 혹 마음을 다하지 못하거나 까칠하게 굴까 걱정이 되어 이 글을 씁니다.
제가 겪은 바로 미루어 보자면, 특히 좀 많이 배웠거나 지금 있는 자리가 좀 번듯한 이들은 이 글을 꼼꼼히 읽어주셨으면 합니다.
제게 딴죽 거는 이들 가운데 대부분이 좀 배웠거나 꽤 내노라 하는 자리에 있는 이들입니다. 못 배운 이들을 깔보고 싶은 생각은 없으나, 못 배운 이가 앞뒤 다른 소리를 하면 좀 배움이 짧아서 그런가 보다 하겠지만, 꽤 배우고 꽤 돋은 자리에 있는 이들이 그러는 것은 제가 많이 배우고 잘났다고 자랑하고 싶은 걸까요? ㅡ.ㅡ;

그리고 무엇보다도, 서로 배우고 나아지려고 하는 주거니받거니가 아니라 그냥 너보다 내가 잘났네 하는 맘으로 괜히 트집 잡아 보는 거라면 점잖게 마다합니다. 저는 댓글에 목 매는 사람도 아니고 그런 쓸데없는 실랑이에 힘 빼고 싶지는 않습니다.(그런 분들은 부디 대나무 밭에 가서 땅을 파고 소리지르시기 바랍니다.)

1. 되도록 딴죽보다는 생각을 보태 주십시오.
처음 생각을 하는 것은 어렵고 거기에 생각을 덧보태는 것은 그보다는 쉽습니다.
콜롬버스가 달걀을 세운 얘기 잘 아시지요?
다른 사람 생각에 딴죽 치는 것은 잘 하면 배우는 바도 크겠지만, 그리 큰 도움이 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오히려 실랑이로 빠지는 때가 더 많은 것 같습니다.)
하지만 생각이란 것이 눈덩이 같아서 좀 엉뚱한 얘기라도 보태고 보태다 보면 꽤 쓸만 해 질 때가 많습니다.(아마도 ‘생각에 큰바람 분기'[브레인 스토밍]가 아마 그래서 그런 모양입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더 낫게 할 량이 아니라 괜히 딴죽이나 걸어보거나 제 잘난 척이나 해 보고 싶은 맘으로는 아무 쓸모가 없고 서로 힘만 빠지게 됩니다.
따라서, 꾀를 보태는 말이 아니라면 그냥 넘어가시기 바랍니다.

2. 딴죽 걸 때는 그 뿌리를 되도록 잘 밝혀 적어주시고, 그냥 ‘생각’인지 뿌리가 있는 ‘따짐'[논리]인지 똑 부러지게 밝혀 주십시오.
가끔 밑도 끝도 없이 ‘그건 아니다. 나는 이렇게 생각한다.’고 하시는 분이 계시는데, 제 생각을 밝히는 것은 제 마음입니다만, ‘아니’라는 것과 ‘이렇게 생각’하는 것은 서로 다른 얘기입니다.
‘그것은 아니다’, ‘그것은 틀렸다’고 했으면 그 뿌리를 밝혀야 얘기를 할 수가 있습니다.
그렇지 않다면, 그냥 티끌이나 잡아보자는 것이고 실랑이나 하자는 뜻과 같습니다.

3. 이것은 저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것이 그것이라는 말은 아닙니다. 제가 하지도 않은 말로 비각[모순]에 스스로 빠지지 마시기 바랍니다.
글을 쓸 때는 뼈대만 마음쓰다 보니 이것저것 밝히지 못할 때가 많습니다.
제가 글을 쓰면서 ‘이것은 저것이 아니’라고 하면 그것은 ‘이것은 저것이 아니’라는 것을 말할 뿐 다른 뜻은 더 살펴봐야 할 것입니다.
‘ㄱ이 ㄴ이 아니’라고 하는 말이 ‘ㄱ이 ㄷ’이란 말은 아닙니다. ㄹ일 수도 있고 ㅁ일 수도 있고 그 모두가 아닐 수도, 그 모든 것이 다일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종종 ‘이것이 저것이 아니’라면 그럼 ‘이것이 그것’이란 말이냐?고 따지는 이들이 있습니다.(그것도 꽤 배웠다는 이들이 많습니다.)
혹 제 뜻을 다 알기 어려우시면 다시 물어주십시오.(그러면서 서로 배우는 거 아니겠습니까? 이미 모든 걸 다 아시는 분은 더 물을 까닭도 없겠지만요…)

4. 맞따질 때는 꼭 뿌리를 밝혀 주시고, 되도록 갈음할 생각[대안]까지 내주시면 더 좋겠지만 뿌리만 밝혀주신다면 굳이 갈음할 생각까지 내놓으라 하지는 않겠습니다.
흔히 ‘비판’을 할 때는 ‘갈음할 생각'[대안]을 내놓으라는 이들이 있는데, 이는 옳지 않다 봅니다.
‘비판’은 바라는 바가 여러가지이지 반드시 갈음할 생각을 내놓아야만 하는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다만 그러려면 따짐에 밑뿌리가 똑 부러져야 한다고 봅니다.
그러니 밑뿌리는 꼭, 되도록 꼼꼼하게 내놓아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거기다가 갈음할 생각까지 내주시면 더할 나위 없겠지요.

5. 한번 얘기를 나눴으면 끝까지 애써 주십시오.
툭 던져놓고는 제 생각을 맞대 내놓으면 슬그머니 꽁무니를 내빼시는 분들이 꽤 있습니다.
저는 댓글에 목 매달지 않습니다. 그러니 끝까지 마음을 다할 생각이 없다면 굳이 대꾸하지 않으셔도 되며, 한번 딴죽 걸었으면 끝까지 애써 주셨으면 합니다.

6. 대꾸를 주실 때에는, 그냥 생각인 건지, 뿌리가 있는 풀이인지 또렷히 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가끔 그냥 생각인지, 뿌리[근거]가 있는 건지 흐릿하게 ‘그렇지 않다’, ‘틀렸다’고 하시는 분이 계시는데, 다른 생각을 내실 때에는 뿌리를 밝혀 따져 주시던지 그냥 생각인지가 또렷해야 제가 거기에 뭐라고 답을 드릴 수가 있을 것입니다.

덧.
제가 받는 딴죽 가운데 가장 흔한 것이, 지금 당장, 아예 한자나 딴겨레말은 쓰지 말고 민우리말만 쓰자는 말이냐 하는 것인데, 저는 어디서도 이런 말을 한 적이 없으니, 괜한 꼬투리 잡고 생 떼 쓰지는 말아 주십시오.
이것을 두고는 제가 우리말을 살려 쓰는 밑잣대[원칙]에서 ‘밝힘‘을 봐 주시기 바랍니다.
제 글을 넉넉히 읽어보신 뒤 거는 딴죽은 얼마든지, 기꺼이 반깁니다.(그것은 제 공부에도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딴죽 걸고 싶은 이들에게…

댓글 16개 (+add yours?)

  1. 김동현
    10월 08, 2012 @ 16:54:27

    정말 좋은 말씀입니다. 1~6번까지 이해가 되고 공감이 갑니다. 저는 최근들어 수많은 분야?에 관심을 가지는 고등학생인데 이 글에서 뭔가 배운것 같습니다. 이 글은 제가 평소 많은 사람들과 대화하면서 그 사람이 벽창호라는 생각이 드는 경우들을 적은것같고요… . 저는 수학,과학을 좋아하는 이과지만 최근들어 문과분야?에 많은 관심이 생기면서 한글에도 관심을 가졌는데요. 제 생각은 한글을 아무리 발전시켜도 알파벳을 못따라갈것같습니다. 또 한자

    답글

    • 깨몽
      10월 08, 2012 @ 20:46:05

      안녕하십니까? 말씀 고맙습니다.
      우리는 참으로 얘기를 주고 받을 줄 모릅니다.
      얘기를 주고 받으면서 저도 좀 많이 배우고 싶은데, 어떤 분은 싫은 소리 하기 싫어 아무 말을 않고, 어떤 분은 그저 싸우려고만 들고…
      그래서 적어본 글입니다.

      그리고 적다가 마셨는데, 한글과 영문자를 보면 영문자는 결코 한글 장점을 따라오지 못합니다.(물론 장단점은 조금씩 있습니다만…)
      혹 다시 오시게 되면 댓글도 남겨주시고, 또 누리방[블로그] 같은 연락처도 남겨 주시면 서로 얘기를 나누면서 서로 배웠으면 합니다.
      고맙습니다.

      답글

      • comgag
        2월 14, 2013 @ 04:16:13

        오랜만에 글다운 글을 보고 기뻐서 덧글을 남깁니다. 어떤 일을 하시는지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우리글을 이렇게 제대로 활용하시는 분은 처음입니다. 한 수 배우고 싶습니다. 대화를 주고 받는 방법도 올바르고요. ^^

        답글

        • 깨몽
          2월 14, 2013 @ 23:14:16

          말씀 고맙습니다.(혹 아래 이름을 숨긴 분과 같은 분이신지요?^^)
          바로 제가 말하고자 하는 것도 그것입니다. 우리말(여기서는 주로 ‘민우리말’에 가까운 뜻입니다.)이 이렇게 편하고 쉽고 좋은데도 우리말은 거들떠 보지도 않고 한자가 더 낫다는 둥 하는 얼빠진 이들이 있어, 그렇지 않다는 걸 말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치에 따라 딴죽을 걸면 저도 뭘 좀 배우겠는데, 그냥 비꼬거나 얼토당토 않은 딴죽 툭 걸고는 다시 발걸음도 하지 않는 분도 꽤 있어, 그래서 적어본 것입니다.
          고맙습니다.^^

    • 조경연
      7월 30, 2020 @ 14:38:41

      우연히 들어왔다가 주옥같은 글 잘 읽었습니다. 모든 글들에 깊은 공감과 찬사를 보냅니다.
      글을 읽다보니 문득 ‘반도’라는 단어에 대한 깨몽님의 생각과 대체할 만한 적절한 단어로 무엇이 좋을지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반도라는 말은 절반만 섬이란건데 섬이 어찌 세상 지형의 기준이 될 수 있겠습니까?
      일제강점기 때 일본이 우리나라를 아래로 보는 표현으로 만든 신조어라고 알고 있습니다.
      부디 물리치지 마시고 의견을 들려 주시길 기다리겠습니다.

      답글

      • 깨몽
        7월 30, 2020 @ 15:42:09

        안녕하십니까
        모처럼 고마운 댓글을 만나니 반갑고 기쁩니다.
        ‘반도’라는 말을 두고는 이미 많은 분들이 말을 하셨지만 정리하자면 ‘반도’가 지리에 얽힌 표현은 맞지만 우리나라 땅덩어리를 표현하기에는 맞지 않다는 것입니다.
        땅 모양을 일컬을 때는 쓸 수 있지만 지리 구분으로는 ‘대륙’과 ‘섬’ 뿐입니다. 그런데 일제가 제 땅에 대한 열등감으로 우리나라를 두고 니들도 반쯤은 섬나라 아니냐는 뜻으로 썼다는 게 많이 알려진 사실입니다.(우리는 대륙에 속한 나라이지 섬 나라가 아닙니다. ^^)
        ‘반도’를 갈음할 우리말을 두고는 https://2dreamy.wordpress.com/2012/04/25/반도는-일본말-우리말로는-곶 을 읽어 봐 주시면 좋겠습니다.
        다만 땅 모양을 따져 말할 때는 ‘한곶’이라 할 수 있겠지만, 우리나라를 일컬어 ‘한곶’이라 하는 건 ‘한반도’라 하는 것과 다를 바가 없다는 생각입니다.
        고맙습니다.

        답글

  2. 익명
    2월 14, 2013 @ 04:13:34

    오랜만에 좋은 글을 읽고 가니 마음이 편해집니다. 우리말을 연구하는 분인지 궁금합니다. 아주 올바르게 우리말을 써 내려가시는데 보기가 좋습니다. ^^

    답글

    • 깨몽
      2월 14, 2013 @ 23:07:02

      고맙습니다.
      색다른[특이한] 분이시네요. 어떤 분들은 말도 안 되는 트집을 잡는 분도 계시는데…^^(우리말을 살려 쓰자는 게 뭐 그리 트집잡힐 일인지…ㅎㅎ)
      우리말을 연구하는 사람은 아니고 우리말을 살펴보다 보니 한자를 떠받드는 이들이 우리말을 죽이고 있다는 생각을 들어 이런 저런 생각들을 적고 있습니다.
      좋게 봐 주시니 다시 한번 고맙다는 말씀 드립니다.^^

      답글

  3. comgag
    2월 15, 2013 @ 10:31:10

    익명과 컴개그 두 개의 덧글 모두 제가 적은 글입니다. 처음에 보이는 익명은 글을 적었는데 나타나지 않아서 워드프레스로 다시 로그인해서 덧글을 적은 것이 컴개그입니다. 개몽님의 글은 아주 우연하게 검색을 하다가 발견했습니다. 덕분에 아주 오래 전에 가입했던 워드프레스 아이디까지 다시 로그인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네요. (감사) 제가 이렇게까지 깨몽님에게 글을 남기는 이유는 한글을 제대로 활용하시는 분을 별로 발견하지 못해서 그런 겁니다. 그리고, 제 소개를 하자면, 저는 대학에서 독어독문학을 전공했고, 초등학교 시절부터 영어와 한자, 우리말을 열심히 배워야 하는 시기에 공부를 했던 사람입니다. 그 중 가장 좋아하고, 아끼고, 우수하다고 생각하는 말은 바로 우리말입니다. 저는 언어에 관심이 다른 사람에 비해 상당히 많은 편이라 초등학교 때부터 영어를 좋아했고, 고등학교 때 독어를 제2 외국어로 선택해서 대학까지 전공을 하게 됐으며, 사회진출을 앞두고 언어의 사회적 위치에 회의감을 느껴 컴퓨터로 전환해서 지금까지 잘 살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원래 언어를 좋아했던 편이라 지금도 우리말이라면 잊지 않고, 늘 사전을 옆에 두고 글을 씁니다. 최근에는 깨몽님이 싫어하실 수도 있는 국립국어원의 글들을 자발적으로, 그리고 조용히 홍보하고 있습니다. 그러던 차에 깨몽님의 글을 발견한 겁니다.

    답글

  4. comgag
    2월 15, 2013 @ 10:38:50

    저도 꽤 웃긴 사람이라고 판단하는 게 언어를 좋아해서 그랬는지 저의 언어적 환경이 남과는 특이하게 다릅니다. 우리말, 영어(컴퓨터주변기기 관련 무역), 한자(한자세대), 독어전공(고등학교, 대학교 전공), 인도네시아어 조금 구사(1년 거주), 일본어 조금 공부, 중국어 공부(중국 심천 제조공장 거래처), 러시아어 공부(아는 여자로 인해) 등을 나열하니 길죠? ㅋㅋ

    답글

  5. comgag
    2월 15, 2013 @ 10:48:49

    아마 초등학교 때부터 지금까지 언어를 친구 삼아 늘 대하고 살아 왔습니다. 그리고, 다른 나라의 말을 배우는 것이 늘 좋기만 합니다. 그러던 차에 세계언어의 공통성과 우리말의 우수성, 활용성, 뿌리에 관심을 느끼기 시작했고, 최근에 강상원박사라는 분 때문에 우리말의 뿌리에 더 매달리게 되었습니다. 강상원박사님을 아시는지는 모르겠지만 그 분의 주장은 우리말(전라도, 경상도 사투리와 북한말)이 산스크리트어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고, 그 말의 어원이며 동서양의 근원이다라는 겁니다. 저는 상당히 일리가 있다고 생각하며 동조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지난 주에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에서 산스크리트어 사전 두 권과 문법서를 구매했으며 강상원박사의 논리를 재확인하고 싶었습니다. 이런 것에 대해 깨몽님의 의견과 조언도 듣고 싶습니다. http://blog.naver.com/bizwine/100177962631 제 의견과 생각, 경험을 덧글로 달았습니다. 아무튼 제 생각이 너무 길지 않았는지, 초면에 실례가 되지는 않았는지요. 널리 이해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저는 깨몽님 같은 분을 너무나 존경하고 좋아합니다.

    답글

    • 깨몽
      2월 15, 2013 @ 17:21:44

      고맙습니다.
      새해를 맞아 이렇게 뜻이 맞는 분을 만나다니 너무나 반갑습니다.(솔직히 그동안 꽤 배웠다는 이들하고도 실랑이를 해 봤지만, 제가 보기에는 너무나 억지가 심하고 사람을 깔보는지…^^ 그리고 다른 몇몇도 제 잘난 양 비꼬는 투로 제 할 얘기만 하고 사라지기도 하고…)
      컴개그 님 같으신 분이라면 딴죽을 당해도 제가 배울 것이 꽤 있지 싶습니다.(애정없이 하는 딴죽은 그저 깔아뭉개보자는, 혹은 남 괴롭히는 데에 재미를 느끼는 것하고 다를 바가 없다고 봅니다.)
      혹 괜찮으시면 말씀을 나눌 수가 있을지요.(제 얼숲[페이스북]은 위 쪽에 고리[링크]가 있습니다만, 혹 자주 글을 쓰시는 누리방[블로그]나 sns 같은 걸 가지고 계실지요?(혹 고리 걸어주신 누리방이 개그컴 님 누리방인지요?^^)
      덧붙여, 요즘 제가 주로 글을 나누고 있는 얼숲에서는 비슷한, 혹은 좀 다르더라도 밑잣대[원칙]은 서로 공감하는 분들이 꽤 있습니다.(제 얼벗 가운데는 우리말 뿌리가 그쪽(그 쪽이 반드시 ‘산스크리트말’인지는 제가 아는 바가 적어 잘 모르겠습니다만…)이라고 주장하고 연구하시는 분도 계십시다.
      꼭 말씀 나누고 듣고 싶습니다.
      고맙습니다.

      답글

      • comgag
        2월 16, 2013 @ 00:11:55

        아, 그런 분이 계시군요. 반가운 말벗을 만난 느낌입니다. 제 얼숲은 http://www.facebook.com/comgag 입니다. 혹시 얼숲에 비공개 카페기능이 있는데 아시는지요? 그곳에서 이런저런 생각과 의견을 주고 받는 것도 좋다고 생각됩니다. 깨몽님만 괜찮으시다면 얼굴도 한 번 뵙고요. ^^ 제 집은 서초구 방배동입니다.

        답글

        • 깨몽
          2월 16, 2013 @ 11:52:01

          고맙습니다.
          얼숲에서, 제가 몸 담고 있는 몇몇 모둠[그룹]과 눈길 갈 만한 몇몇 분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거듭이나 무척 반갑습니다.^^

  6. 이종구
    4월 18, 2015 @ 00:23:02

    대단하십니다. 많이 배우고 갑니다.

    답글

    • 깨몽
      5월 05, 2015 @ 20:26:56

      말씀 고맙습니다.
      말글 전문가는 말글학자가 아니라 말글산이(언어 사용자)이며 또 그러해야 옳을 것입니다.
      그들에게서 배운다면 이 또한 그리 보잘 것 있는 글도 아니겠지요. ^^

      답글

comgag님에게 덧글 달기 응답 취소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